□ 서울시는 25개 자치구 야외 공원에 설치된 아리수 음수대 수돗물에 대해 정밀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, 모두 ‘먹는 물 적합’ 판정을 받았다고 16일(수) 밝혔다.
□ 국제공인시험기관인 서울물연구원은 자치구별로 각 1곳씩 25개 야외 공원 음수대를 무작위로 선정해 법정 먹는 물 수질기준 60항목, 서울시 자체 감시항목 111항목 등 총 171개 항목에 대한 정말수질검사를 실시했다.
○ 지난 8월부터 10월까지 광진구 어린이대공원, 종로구 탑골공원, 강동구 한강시민공원 등 서울시민이 자주 찾는 ‘서울 25개 자치구 야외 공원 아리수 음수대 수돗물’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다.
□ 수질검사 결과, 25개 지점 모두 먹는 물 ‘적합’ 판정을 받았으며 납, 비소, 니켈 등의 중금속은 물론, 농약류 및 방사성물질도 전혀 검출되지 않아 수질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.
○ 살충제, 농약류와 같은 건강유해영향 유기물질과 방사성물질 역시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, 심미적으로 수돗물의 맛을 저해하는 맛·냄새물질(지오스민, 2-MIB)도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.
○ 대장균, 녹농균, 살모넬라 등도 불검출되어 병원성미생물 항목도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□ 서울물연구원 관계자는 “필수 영양소지만 체내에서 형성되지 않아 물이나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 ‘미네랄’의 경우 지점별로 31~39㎎/L 함유돼 있어, 시에서 운영하는 ‘건강하고 맛있는 물 가이드라인’ 기준(미네랄 20~100㎎/L)도 충족하고 있다”고 설명하기도 했다.
□ 서울시는 수돗물의 수질 안전성을 많은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매년 25개 자치구의 다중이용시설(구청‧주민센터·학교 등)을 선정해 정밀수질검사를 실시하고,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.
○ 올해는 산책 및 운동을 목적으로 시민 이용이 잦은 야외 공원에 설치된 아리수 음수대의 수돗물 수질검사를 실시했다.
□ 이번 정밀수질검사 결과는 해당 공원에 포스터 형태로 부착해 시민들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했으며,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누리집(http://arisu.seoul.go.kr)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했다.
□ 손정수 서울물연구원장은 “서울의 수돗물 아리수는 생산부터 공급까지 전 과정을 과학적으로 관리하는, 안전하고 건강한 물”이라며 “앞으로도 정밀한 수질검사와 투명한 결과 공개로 시민들이 서울의 수돗물 아리수를 믿고 마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”고 말했다.
연번 | 지 점 명 | 위 치 | |
자치구 | 공원명 | ||
1 | 강남 | 신사근린공원 | 학동로426 |
2 | 서초 | 양재근린공원 | 남부순환로 2584 |
3 | 강동 | 한강시민공원
(광나루지구) |
성동구 강변북로 257
(성수동 1가) |
4 | 송파 | 백토공원 | 올림픽로 326 |
5 | 강서 | 우장산(축구)공원 | 화곡로 302 |
6 | 구로 | 애경어린이공원 | 가마산로 245 |
7 | 양천 | 양천근린공원 | 목동동로 105 |
8 | 금천 | 두산공원 | 시흥대로73길 70 |
9 | 동작 | 노량진배수지시민공원 | 장승배기로 161 |
10 | 관악 | 새숲어린이공원 | 관악로 145 |
11 | 영등포 | 대림어린이공원 | 당산로 123 |
12 | 광진 | 어린이대공원 | 능동로 216 |
13 | 동대문 | 장안공원 | 천호대로 145 |
14 | 성동 | 성수근린공원 | 고산자로 270 |
15 | 중랑 | 상봉어린이공원 | 봉화산로 179 |
16 | 강북 | 솔샘어린이공원 | 도봉로89길 13 |
17 | 도봉 | 월천근린공원 | 마들로 656 |
18 | 노원 | 상계근린공원 | 노해로 437 |
19 | 마포 | 동교어린이공원 | 월드컵로 212 |
20 | 서대문 | 신기한놀이터 | 연희로 248 |
21 | 은평 | 새록어린이공원 | 은평로 195 |
22 | 성북 | 길음어울림마당 | 삼선동 411 |
23 | 용산 | 보광 달맞이공원 | 녹사평대로 150 |
24 | 종로 | 탑골공원 | 삼봉로 43 |
25 | 중구 | 약수사랑터 | 창경궁로 17 |
출처 : 서울특별시